ESS 보조금 지자체 비교

2025년 주요 지자체별 ESS 보조금 금액과 신청 조건을 비교 분석했습니다.


 빠르게 내 지역 보조금 확인하려면 아래 버튼을 눌러주세요.


ESS 보조금




2025 태양광 지원 사업 총정리 태양광 유지관리 비용 정리 ESS 배터리 종류별 비교 2025 ESS 설치비용 총정리 태양광 수익률 계산법 정리 지자체 태양광 보조금 총정리

1. ESS 보조금이란?

ESS는 기본적으로 정부 보조금 대상은 아니지만, 일부 지자체에서는 태양광 연계 설치 시 추가 보조금을 지급하고 있습니다.

2. 지자체별 ESS 보조금 비교표 (2025년 기준)

지역

최대 지원금

지원 조건 요약

담당 부서

서울특별시

200만 원

태양광+ESS 동시 설치, 선착순

기후환경본부

경기도 성남시

150만 원

주택용 태양광 설치자 대상

에너지정책팀

인천광역시

100만 원

단독주택만 가능

환경정책과

전주시

180만 원

농촌 우선, 한전 연계 필수

녹색에너지팀

수원시

200만 원

5kWh 이상 설치 필수

환경에너지과

부산광역시

100만 원

국산 인증 제품 조건

녹색환경정책과

세종특별자치시

150만 원

신축주택 우선

에너지환경과

전라남도 나주시

250만 원

농가 전용, 5kW 이상

지역에너지센터

충북 청주시

120만 원

스마트 계량기 연계

탄소중립전략과

제주특별자치도

200만 원

풍력+태양광 연계 시 최대 300만 원

제주에너지공사

3. 지원 조건 요약

  • 태양광 연계 설치 필수
  • 용량 조건 존재 (예: 5kWh 이상)
  • 국산 인증 제품 조건 포함 지역 있음
  • 설치 후 서류 제출 방식

4. 신청 절차 공통 흐름

  1. 지자체 홈페이지 공고 확인
  1. ESS + 태양광 설치 및 인증
  1. 지원 신청서 및 세금계산서 제출
  1. 현장확인 또는 서류 심사
  1. 계좌로 보조금 지급

5. 예시 비교: 서울 vs 전남 나주

항목

서울특별시

전라남도 나주시

최대 보조금

200만 원

250만 원

설치 조건

태양광 연계, 인증제품

농가 전용, 5kW 이상

지급 방식

선착순 예산 소진

연중 신청 가능

지역 특화

도시형

농촌형

6. 설치 시 경제성 예시

  • ESS 5kWh: 설치비 약 750만 원, 보조금 200만 원 → 자부담 약 550만 원
  • 태양광 3kW: 설치비 600만 원, 보조금 550만 원 → 자부담 약 50만 원
  • 총합계: 1,350만 원 → 보조금 750만 원 → 실 자부담 약 600만 원
  • 월 절감액: 약 9만~12만 원 → 회수기간 약 4.5년

다음 이전